About KTTL

경기규정

제 8장 경기
제 42조 (용어 규정)
  • ① 경기(팀매치 )는 한 팀이 상대 팀과 4번의 단식, 1번의 복식 경기를 치르는 것을 의미한다.
  • ② 매치는 경기(팀매치) 때 진행되는 5번의 세부 경기를 의미한다. 1, 2, 4, 5매치는 단식이며, 3매치는 복식이다.
  • ③ 게임은 매치의 하부단위로 10-10이 아닌 상황에서 먼저 11점을 획득하거나, 10-10 이후 먼저 2점이 앞서는 쪽(선수 혹은 복식조)이 승리한다.
  • ④ 라운드는 특정팀이 같은 리그 소속의 다른 팀과 각각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것을 의미한다.
  • ⑤ 포인트는 매 게임 중 한 번의 랠리(공이 경기 중에 있는 상태)에서 결정되는 점수를 의미한다.
제43조 (경기 시작시간 및 장소)
  • ① 2022 한국프로탁구리그는 한 장소(광교 씨름체육관)에서 열리며, 경기시작 시간은 15시, 19시를 원칙으로 한다. KTTL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경기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 ② 리그 일정에 따라 하루 네 경기를 치러야 할 경우, 오전 11시 등 다른 시간대에 경기를 추가할 수 있다. 또 프로리그위원회가 인정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경기 시작시간을 바꿀 수 있다.
  • ③ 앞 경기가 다음 경기의 시작 시작을 넘겨 종료된 경우, 최소 30분의 준비시간을 가질 수 있다.
  • ④ 경기 시작시간은 천재지변, 방송중계 등의 사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경기감독관은 KTTL 사무국과 사전에 협의해야 한다.
제44조 (각 리그의 경기수)
  • ① 각 리그의 경기수는 매 시즌 전 프로리그위원회가 결정한다.
  • ② 각 리그별로 팀수가 5개 이하인 경우는 4라운드, 6~7개인 경우는 3라운드, 8개팀 이상일 경우는 2라운드로 진행한다. 단, 프로리그위원회는 마케팅, 천재지변 등 필요에 따라 리그별 라운드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45조 (홈/어웨이 팀의 정의)
  • ① 한 경기에 출전하는 두 팀은 홈팀과 어웨이팀으로 구분된다. 홈팀 벤치는 주심석 오른쪽, 어웨이팀 벤치는 반대편으로 정한다.
  • ② 짝수 라운드로 치러지는 경우, 두 팀이 교대로 홈팀을 맡는다. 지난 시즌 팀순위에서 뒤지는 팀이 먼저 홈팀이 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형평성을 고려해 KTTL 사무처가 조정할 수 있다. 홀수 라운드도 마찬가지이며 마지막 맞대결은 이전 경기 패배팀이 홈팀이 된다.
제46조 (경기 방식)
  • ① 모든 매치는 2게임을 먼저 획득한 쪽이 승리한다.
  • ② 매치 스코어 3-0인 상황에서도 네 번째 매치를 진행한다.
  • ③ 다섯 번째 매치는 매치 스코어 2-2인 상황에서만 진행한다.
  • ④ 매치 스코어에서 앞선 팀이 승리하게 되며, 가능한 매치 스코어는 4-0, 3-1, 3-2 3가지만 가능하다 .
  • ⑤ 출전선수가 2명 이하이거나, 경기장 지연도착 등 해당팀의 사정으로 경기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없는 경우, 몰수패로 처리된다.
  • ⑥ 서비스, 리턴, 경기 순서, 렛, 점수, 경기촉진제 등은 국제탁구연맹(ITTF)이 정한 규칙을 기준으로 삼는다(ITTF 핸드북 제2장 탁구규칙).
제47조 (순위 결정)
  • ① 각 리그별 팀별 순위는 KTTL 승점 제도를 따른다. KTTL 승점 제도는 아래와 같다.
    • 매치스코어 4-0일 경우, 승리팀 4점-패배팀 0점.
    • 매치스코어 3-1과 3-2인 경우, 승리팀 3점-패배팀 1점.
    • 경기(팀매치) 승패와 상관 없이 승점을 많이 획득한 팀의 순위가 앞선다.
    • 몰수패의 경우, 승리팀이 승점 4점을 얻고, 패배팀의 승점은 0점이 된다.
  • ② 승점이 같을 경우, 승률로 순위를 결정한다. 승률도 동률일 경우에는 매치득실차를 기준으로 삼고,
    매치득실차까지 같을 경우 최다매치획득수-게임득실차-최다획득게임수-포인트득실차-최다포인트 순으로 팀순위를 결정한다. 이마저 같을 경우에는 정규리그 종료 후 순위결정전(1경기)을 치른다.
제48조 (오더 및 팀위치)
  • ① 팀은 경기시작 1시간 전에 경기장의 경기감독관에게 오더 리스트(해당 경기의 출전선수 명단)를 제출해야 한다. 오더 규정 위반이 발견된 경우, 원활한 경기진행을 위해 양팀은 오더를 다시 작성하되, 귀책사유가 있는 팀이 먼저 오더를 쓰고, 상대팀은 이를 보고 오더를 작성한다. 이 과정에서 최종 판단 및 유권해석 권한은 경기감독관에게 있다. 규정이 위반된 채 경기가 진행된 경우에는 경기결과를 인정하되, KTTL위원회가 관련자(팀)의 징계를 논의한다. <2023년 1월 12일 개정>
  • ②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는 3~5명이 가능하다. 단식에 두 번 출전하는 선수는 1명이어야 한다.
    단식에 두 번 출전하는 선수는 복식에 출전할 수 없다. 단식에 출전하지 않는 선수도 복식에 출전할 수 있다. 오더 리스트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홈팀:A,B,C,D,E 어웨이팀:a,b,c,d,e).
    • A vs b
    • B vs a
    • 복식 [B~E 중 2명 vs b~e 중 2명]
    • A vs a
    • C vs c [C~E vs c~e]
  • ③ 오더를 제출한 후 앞선 매치에 출전하지 않은 선수는 다음 매치도 출전할 수 없다. 단, 매치 시작 후 부상으로 경기를 포기한 경우에는 다음 매치에 출전할 수 있다.
제49조 (포스트시즌)
  • ① 포포스트시즌은 리그별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 챔피언결정전 세 가지로 치러진다.
  • ② 준플레이오프는 정규리그 3위와 4팀이 격돌하며, 플레이오프는 준플레이오프의 승자와 정규리그 2위가 대결하고, 챔피언결정전은 플레이오프 승자와 정규리그 1위팀이 맞붙는다. 준플레이오프는 리그의 출전팀이 8개 이상일 때, 그리고 3위와 4위 팀의 승점차가 6점 이내일 경우만 시행된다.
  • ③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 모두 정규리그 상위팀이 1승을 확보한 상태에서 시작하며 2승을 획득한 팀이 승리한다. <2022년 11월 3일 개정>
제50조 (경기의 준비)
  • ① 모든 경기는 경기시작 전 각 출전팀에게 10~20분씩 메인 탁구대 연습시간을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연습시간의 순서는 어웨이팀-홈팀 순으로 한다. 단, 15시 경기의 경우, 20분 연습시간을 2번씩 가질 수 있다. 추가 연습시간이 발생할 경우에도 양팀에 동등하게 배분한다. 양 팀 감독의 사전 합의가 있을 경우, 연습시간의 조정이 가능하다. 분쟁이 생길 경우, 감독관의 판단에 따른다.
    • 3시(15시) 경기의 연습시작 시간은 어웨이팀 1시20분, 2시, 홈팀은 1시 40분, 2시20분로 한다.
    • 7시(19시) 경기의 연습시간은 어웨이팀이 5시20분, 6시, 홈팀이 5시40분, 6시20분으로 한다. 단, 3시 경기가 5시20분을 넘긴 경우, 감독관이 확정한 총 연습시간을 양 팀이 동등하게 나눠 쓴다.
    • 어떠한 상황에서도 팀당 최소 10분의 연습시간은 주어져야 한다.
  • ② 라켓 컨트롤은 아래의 규정을 따른다.
    • 팀 주장은 경기시작 15분 전까지 출전선수 전원의 라켓을 KTTL이 지정한 장소에 제출해 라켓 컨트롤을 받아야 한다.
    • 부득이한 사정으로 라켓을 제출하지 못한 선수는 시합 후 라켓 컨트롤을 받아야 한다.
    • 시합 전 라켓 컨트롤을 통과하지 못한 라켓은 사용할 수 없으며, 즉시 다른 라켓으로 대체될 수 있다. 두 번째 라켓은 시간이 허락한다면 즉시 테스트를 받아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해당 매치 후에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 경기 후 라켓 컨트롤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선수는 실격패(0-11 0-11)로 처리된다. 매치 스코어 2-1, 혹은 2-2 등 라켓 컨트롤의 결과에 따라 팀매치의 승패나, 다음 매치의 시작여부를 결정해야 될 경우, 심판은 라켓 콘트롤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최종판정을 미뤄야 한다.
    • 한 번의 시즌 동안 라켓 컨트롤에서 3번 통과하지 못한 선수는 3번째 통과하지 못한 경기는 끝마칠 수 있지만, 잔여 시즌에는 출전이 정지된다.
    • KTTL은 출전정지를 해당 선수에게 서면으로 통보해야 하며, 출전이 정지된 선수는 서면을 받은 지 21일 이내에 KTTL 사무국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이의가 제기된 기간 해당선수의 출전정지는 유효하다.
    • 라켓 콘트롤의 세부 내용은 국제탁구연맹(ITTF) 규정(핸드북 3.2.4)을 기준으로 삼는다.
제51조 (인터뷰)
  • ① 팀의 감독과 선수는 경기 후 미디어의 인터뷰 요청이 있을 경우, 이에 응해야 한다.
  • ② KTTL 사무국은 매 경기 종료 후 현장 기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스탠딩 인터뷰 대상자를 선정하고, 이를 당사자에게 즉시 알려야 한다.
  • ③ 준현장 기자들의 요청이 있을 경우, 경기장 내 별도의 공간에서 추가 인터뷰가 열릴 수 있다.
제52조 (경기의 연기, 중지, 취소, 재경기)
  • ① 경기감독관은 특별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양 팀 대표자, 심판과 협의를 거쳐 경기 중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KTTL 사무국에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 ② 천재지변, 정전, 화재 및 기타 불가항력에 의하여 경기 개최가 불가능하거나 중지되었을 때 재개최 및 재경기를 시행할 수 있다. 재개최 및 재경기는 프로탁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시행한다.
  • ③ 경기장에서 코로나 의심환자가 발생할 경우, 진행중이던 경기 및 다음 경기는 중지 및 연기된다. 구체적인 사항은 별도의 방역 매뉴얼에 따른다. 코로나 의심환자는 방역당국의 기준에 따른다.
  • ④ 경기장에 도착하지 않은 선수와 지도자, 스태프가 코로나 확진판정을 받았을 경우, 방역당국이 정한 규정에 따라야 하며, 경기출전과 경기장 출입이 금지된다.
  • ⑤ 경기장에 도착하지 않은 선수와 지도자, 스태프가 밀접접촉자로 확인돼 자가격리를 하는 경우, PCR검사에 음성판정이 나올 때까지 경기출전과 경기장 출입이 금지된다.
제53조 (경기의 진행속도)
  • ① 주심과 부심은 선수의 플레이가 현저하게 늦을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 ② 감독관은 경기의 진행속도가 늦다고 판단할 경우, 주심과 협의해 즉시 멀티볼을 시행할 수 있다. KTTL사무국은 매 경기 멀티볼 시행에 필요한 볼퍼슨(ball person) 2명을 준비해야 한다.
  • ③ 경기 중인 선수의 부상이 발생할 경우, 최대 10분간 치료 및 회복시간이 주어진다. 10분이 지나도 경기를 속개하지 못할 경우 해당 게임은 부상이 발생한 당시의 스코어를 기준으로 상대선수가 이기는 스코어를 부여해 해당 게임을 종료한다. 부상을 당한 선수가 이어지는 게임에 출전하지 못할 경우, 이 게임은 상대선수가 11-0으로 승리한 것으로 처리한다.
  • ④ 특정 선수의 부상으로 인해 해당 매치 및 게임이 기권으로 처리될 경우도 다른 매치는 정상적으로 진행한다. 해당 팀매치의 승점, 향후 순위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매치득실 등 때문에 그러하다.
  • ⑤ 선수의 부상과 관련된 세부 사항은 ITTF 규정을 따른다.